장 자크 루소의 <고독한 산책자의 명상>을 읽었다. 


루소는 허두에서 "어느 시기가 되면 오늘을 살다간 인간들이 나에게 보여준 평가와 행동을 새 사람들이 신중하게 검토하고 오늘을 사는 사람들의 간교를 파악하여 나의 참된 모습을 알아줄 것"이라며 미래와 미래 세대에 대한 기대와 희망을 피력한다. 



장 자크 루소, 고독한 산책자의 명상장 자크 루소, 고독한 산책자의 명상



그러나 이내 다음과 같이 덧붙인다. 


"요즘 새로운 반성을 거듭하여 세상 사람들의 심성을 개조시킨다는 것은 새로운 세대가 살아가는 세상에서도 가망없는 허구(虛構)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장 자크 루소, 고독한 산책자의 명상장 자크 루소, 고독한 산책자의 명상



루소가 하는 얘기는 요즘에도 여전히 와닿는다. 


"능변한 인간들의 궤변에 언제까지 현혹당하고 있을 것인가. 그들이 남에게 그토록 강요하고 있는 그 사상의 알맹이는 자기들 것인가. 아니다. 그것은 편견이다. 그것을 무기삼아 남에게 억설을 퍼부으면서 그들이 확신하는 것의 근거가 무엇인지를 스스로 깨우칠 수 없게 하고 있다. 공연히 떠돌아다니는 붕당(朋黨)의 괴수에서 진리를 요구한들─. 나는 스스로를 위한 철학이 필요하다. 나의 확고한 행동 기준을 지금 찾아낸다 해도 늦지 않다. 나의 사상, 나의 원리를 바로 이 순간부터 확립해야겠다. 확신 그대로를 실천하며 살아가야 할 것이다."


자신의 아이들을 고아원에 보낸 심경도 토로한다. 


"일찍이 나는 내 아이들을 고아원에 보냈었다. 그것이 나를 인간 윤리에서 벗어난 아비로 규탄해댈 꼬투리를 그들에게 만들어 주었던 것이다. 그들은 어린 아이를 싫어하는 인간으로 나를 몰아붙이자는 결론을 내렸다.


한 가지 문제가 생기면 그것을 발판삼아 층계를 오르듯, 흰 것을 검은 것으로 만들어 버리는 묘한 재주가 그들에게 있다는 것을 뼈저리게 느꼈다. 세상에서 어린 아이가 모여 놀고 있는 것을 나보다 더 좋아할 사람이 없으리라고 믿고 있었기 때문이다."


"내가 낳은 아이들을 고아원에 보냈다는 사실이 아비답지 못하다는 무정한 인간들도 있지만, 내가 고아원에 보내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은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그 아이들은 그보다 더 비참한 운명의 골짜기로 빠질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나로서는 그토록 참담한 나의 운명을 그 아이들에게 보여주는 것이 두려웠다.


내가 그때 그 아이들의 장래에 무관심했다면 혼자서 아이들을 기를 수 없는 내 처지로선 그 아이들의 어머니나 외가 친척들 손에 맡겨야만 했다. 그렇게 되었더라면 그 아이들은 버릇없는 아이가 되었을 것이고 외가 친척들은 그 아이들을 방임한 나머지 고약한 괴물쯤으로 만들어 놓았을 것임에 틀림없다."



"나는 의욕껏 배우면서 늙어간다."



"나는 의욕껏 배우면서 늙어간다." 

노경에 나를 두고 하는 말인 것같다. 




덧> 

의무방어전으로 쓰는 글이다. 자정 전에 올라가자.